top of page

나이지리아_ 보코하람 납치 생존자들…“비슷한 고통 겪은 사람 돕고 싶어”

이슬람 무장단체 보코하람에 포로로 잡혀갔다 돌아온 많은 나이지리아 생존자들이 사회 복귀를 희망하면서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고 인터내셔널 크리스천 컨선(ICC)이 최근 전했다. 레베카 카부(24)는 보코하람의 포로로 잡혀 강제 결혼과 종교적 강요 등 상상할 수 없는 고난을 몇 년 동안 겪었다.

보코하람은 2014년 보르노 주의 치복에 있는 정부 중등학교에서 카부를 납치했다. 당시 16세였던 카부는 처형을 피하기 위해 이슬람으로 개종했다. 카부는 강제로 결혼했던 보코하람 일원의 도움으로 탈출했지만, 삼비사 숲에서의 생활은 그녀와 세 자녀에게 큰 고통을 안겼고, 아이들은 의료 혜택 부족으로 모두 사망했다.

카부는 “보코하람은 결혼을 거부하면 죽인다고 협박했다. 죽고 싶지 않아 이슬람을 받아들였지만, 지금은 기독교인으로 죽고 싶다”고 말했다. 카부는 새로운 삶을 시작하고, 학교로 돌아가 다른 생존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인도주의적 활동가가 되고 싶어 한다.

지난 16년 동안 보코하람은 나이지리아를 중심으로 35만 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갔고, 그 폭력은 차드, 니제르, 카메룬, 말리 등에도 영향을 미쳤다. 2016년 보코하람은 분열돼 이슬람 국가 서아프리카로 알려진 IS 세력을 형성하게 됐다. 특히 여학생 납치는 이 단체의 상징적인 잔혹 행위가 되었다.

이 문제는 보코하람을 넘어 이슬람 풀라니족 무장집단과 무슬림 강도들에 의한 소녀 납치와 폭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들은 소녀들을 이슬람으로 개종시키고 폭력을 가하고 있다. ICC는 130명의 기독교 소녀가 구출되었으나, 많은 소녀들이 강제 결혼으로 고통받고 있고, 나이지리아 당국은 이들의 처지에 거의 반응하지 않고 있다. 소녀들은 여전히 과거의 오명을 계속 안고 살아가고 있다.

국제엠네스티 나이지리아지부는 생존자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요청하며, 기독교 여성 지도자들과 함께 “우리 소녀들에게 힘을”이라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이 캠페인은 구조되거나 탈출한 소녀들의 사회 복귀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카부와 같은 많은 소녀들은 여전히 더 안전한 환경에서 피난처, 정의, 그리고 치유할 기회를 찾고 있다. 카부는 “나는 환경을 바꾸고, 학교로 돌아가서, 나와 같은 고통을 겪은 사람들을 돕기 위해 내 삶의 경험을 사용하고 싶다”고 말했다


시23: 4 내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로 다닐지라도 해를 두려워하지 않을 것은 주께서 나와 함께 하심이라 주의 지팡이와 막대기가 나를 안위하시나이다.


🙏기도해주세요


1. 오랜 시간동안 무장집단에 납치되어 많은 고난을 당한 여성들을 위로하여 주시고 평안을 부어 주옵소서. 가족의 품으로 돌아왔지만 여전히 이전의 고통으로 머물고 있는 현실을 주님께 아룁니다. 이들이 치유되며 자립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기독교 단체들을 일으키셔서 실제적인 필요를 채워 주시고, 예수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충만한 믿음의 삶을 살아가게 하옵소서.


2. 납치된 모든 자들이 속히 가족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은혜를 베풀어 주옵소서. 레베카 카부와 같은 고난의 증인들이 주님의 크신 위로로 회복되어 같은 어려움을 당한 자들에게 하늘의 위로와 구원을 받게 하는 통로가 되게 하옵소서.


3. 이슬람 무장집단들에게 계속해서 납치와 죽음을 당하는 상황에 처해 있는 나이지리아 교회를 보호하여 주옵소서. 나이지리아 정부가 이러한 폭력과 불법 앞에 잠잠치 않고 제도적으로 무장세력을 진압하고 정의를 구현할 수 있도록 주께서 정사자들을 다스려 주십시오. 하나님을 두려워하고 백성을 선한 양심으로 돌보는 정사자들을 세워 주소서.

bottom of page